Emily Brontë의 『폭풍의 언덕』(Wuthering Heights)은 19세기 영국 문학의 대표적인 고딕 소설로, 강렬한 감정, 복수, 운명적 사랑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당시 빅토리아 시대는 엄격한 도덕적 규율과 사회적 질서를 강조했으며,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 작품은 도덕적 가치에 대한 도전과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을 탐구한다. 특히, 계급과 복수, 사랑의 파괴적인 힘을 다룬 이 소설은 기존의 낭만적 소설과 차별화되며, 독창적인 구조와 강렬한 감정 표현으로 인해 영어영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문학적 가치를 제공한다.
『폭풍의 언덕』의 줄거리
소설은 화자인 록우드가 폭풍의 언덕(Wuthering Heights)에 머물면서 시작된다. 그는 이곳의 주인 히스클리프와 그를 둘러싼 복잡한 관계를 알게 된다. 히스클리프는 어릴 때 리버샤 가족에게 입양된 후, 캐서린 언쇼와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지만, 그의 낮은 신분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멸시받는다. 시간이 지나 캐서린은 부유한 에드거 린턴과 결혼하지만, 히스클리프에 대한 애정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히스클리프는 분노와 복수를 다짐하며 사라졌다가 몇 년 후 부자가 되어 돌아온다.
히스클리프는 캐서린을 다시 되찾으려 하지만, 그녀는 병약해져 결국 사망하고 만다. 캐서린의 죽음 이후 히스클리프는 절망에 빠지며, 그녀를 사랑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의 불행을 초래한 주변 인물들에게 복수를 감행한다. 그는 에드거의 여동생 이사벨라와 결혼하여 그녀를 학대하고, 캐서린의 딸 캐시와 자신의 아들 린턴을 결혼시키며 린턴 가문을 몰락시킨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캐시와 헤어턴(히스클리프의 양아버지인 언쇼 가문의 마지막 후손)이 서로 사랑하게 되고, 이들의 관계는 히스클리프가 이루지 못한 사랑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국 히스클리프는 캐서린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속에서 스스로를 소진하며 죽음을 맞이하고, 그의 유령이 캐서린과 함께 떠돌아다닌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폭풍의 언덕』은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과 운명적 사랑의 파괴적인 힘을 깊이 있게 조명하며, 독자들에게 강렬한 감정적 경험을 선사한다.
영어영문학도에게 『폭풍의 언덕』이 필독서인 이유
영어영문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에게 『폭풍의 언덕』은 반드시 읽어야 할 작품이다. 첫째, 이 작품은 비선형적 구조와 복잡한 플롯을 통해 문학 분석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준다. 브론테는 다층적인 이야기 구조를 사용하여 독자들에게 시간의 흐름과 감정의 변화를 정교하게 전달한다. 둘째, 히스클리프라는 인물은 전형적인 영웅과 악당의 경계를 허물며, 인간 내면의 복잡성과 도덕적 양면성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사례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자연과 공간적 설정이 감정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자연의 거친 모습은 등장인물들의 내면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점에서 『폭풍의 언덕』은 문학적 해석과 감상 능력을 기르는 데 유용하며, 영어영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생활기록부 독서활동에는 어떻게 기록하면 좋을까?
생활기록부 독서활동란에 『폭풍의 언덕』을 기재할 때는 단순한 줄거리 요약이 아니라, 책을 통해 얻은 교훈이나 전공과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 예시를 참고하면 좋다.
예시 1: 문학적 분석 중심
"『폭풍의 언덕』을 읽으며 19세기 영국 고딕 소설의 특징과 인간 감정의 극단적 표현 방식을 탐구했다. 특히, 히스클리프와 캐서린의 관계에서 사랑과 증오의 복합적인 감정을 분석하며, 문학이 인간 본성을 얼마나 깊이 탐구할 수 있는지를 깨달았다. 또한, 다층적 서사 구조와 자연의 상징적 활용이 작품의 분위기를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해 연구하며, 문학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영문학과에서 보다 심도 있는 문학 연구를 하고 싶다."
예시 2: 감정과 인간 본성 중심
"『폭풍의 언덕』은 사랑과 증오, 복수의 감정이 어떻게 인간을 파괴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감정의 이중성을 깊이 탐구할 수 있었다. 히스클리프가 계급 차별로 인해 사랑을 잃고 복수를 선택하는 과정은 당시 사회의 불평등과 인간 심리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이를 통해 문학이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도구라는 점을 깨달았으며, 앞으로 문학을 통해 다양한 인간 감정을 탐구하고 싶다는 목표를 갖게 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독서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와 전공 적합성을 강조하면 입학사정관이 긍정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