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왜 영어에선 이렇게 말할까? (2) – 일상 표현 속 문화적 차이

올잉글리시 2025. 4. 14. 00:32
반응형

shaking hands

 

 

영어를 배우다 보면 문법적으로는 맞는 문장인데도 뭔가 어색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아. 이런 어색함은 단순한 언어 실수라기보다는, 문화와 사고방식의 차이에서 오는 경우가 많아. 이번 글에서는 한국어에서는 자연스럽지만, 영어로 그대로 옮기면 어색해지는 일상 표현 10가지를 정리해볼게.

1. “식사하셨어요?” → 영어에서는 “Did you eat?”가 인사가 아니야

한국어에선 안부 인사처럼 쓰이는 말이지만, 영어에서 “Did you eat?”라고 하면 진짜 식사를 했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이야. 영어권에서는 대신 “How are you?”, “How's your day going?” 같은 인사를 더 자주 써.

2. “수고하셨습니다” → 영어로는 한 단어로 딱 떨어지지 않아

“Good job”이나 “Well done”으로 바꾸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어처럼 관계 맺기용으로 넓게 쓰이진 않아. 대신 “Thanks for your help”이나 “Appreciate your effort”처럼 상황에 따라 다르게 표현해.

3. “잘 부탁드립니다” → 영어에는 없어, 기대의 표현으로 바꾸자

관계를 맺을 때 한국인은 “잘 부탁드립니다”라고 하지만 영어권에서는 “I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you”, “Let’s keep in touch”처럼 앞으로의 기대를 담는 표현을 써.

4. “고생 많으셨어요” → 정서가 담긴 표현, 영어로는 다양하게 나눠 말해야

“Thank you for your hard work” 또는 “It must have been tough for you” 같은 말이 비슷하지만, 정서적인 위로나 공감은 따로 표현해야 더 자연스러워.

5. “몸조리 잘 하세요” → “Take care” 이상이 필요해

“몸조리”라는 개념이 영어에는 없어서 그냥 “Take care”라고만 하면 의미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I hope you get plenty of rest and feel better soon”처럼 구체적으로 말해줘야 진심이 전해져.

6. “다녀오겠습니다 / 다녀왔습니다” → 영어는 ‘오가는 과정’보다 ‘현재 상태’에 초점

영어권에선 “I’m leaving now”, “I’m back”처럼 간단히 말하지, 오가는 과정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아. 그만큼 한국어가 정서적 연결을 더 중시한다는 반증이기도 해.

7. “별말씀을요” → 영어엔 겸손한 부정 표현이 없다?

누군가 “Thank you”라고 하면 한국어에선 “별말씀을요”, “천만에요”처럼 겸손하게 부정하지만 영어에선 “You’re welcome”이 정석이야. 더 친근하게는 “No problem”, “Anytime”도 쓰지만 부정의 뉘앙스는 거의 없어.

8. “많이 먹어” → 영어는 식사 권유도 다르게 표현해

“Eat a lot!”이라고 하면 좀 이상하게 들려. 대신 영어에서는 “Help yourself”, “Dig in”, “Enjoy your meal” 같은 표현으로 자연스럽게 권유해.

9. “죄송합니다, 실례했습니다” → 영어는 사과도 ‘톤’이 중요해

한국어에선 사소한 일에도 “죄송합니다”를 자주 쓰지만, 영어에서는 “I’m sorry”도 상황에 따라 무겁게 들릴 수 있어. 작은 실수에는 “Excuse me”나 “My bad”가 더 가벼운 느낌이라 잘 어울려.

10. “저 먼저 가볼게요” → 영어는 상황설명이 더 많아

한국어처럼 “먼저 가볼게요” 한마디로 끝내기 어렵고, 영어에선 “I’ve got to head out now”, “I should get going” 같은 표현으로 이유나 상황을 자연스럽게 덧붙여야 어색하지 않아.

마무리하며

언어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의 문화, 사고방식, 인간관계 방식이 담긴 구조물이야. 같은 말을 하더라도 ‘어떻게’ 말하느냐는 문화마다 다를 수밖에 없고, 그 차이를 알게 되면 영어도 훨씬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어. 다음 편에서는 ‘감정 표현’이나 ‘거절과 동의의 문화 차이’에 대해서도 다뤄볼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