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법 7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문법 10가지 (수능 1등급, 토익 900점 이상 받으려면 꼭 봐!)

안녕? 수능1등급, 토익900점 이상 받으려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문법 10가지를 정리했어. 상위권 학생들도 은근히 자주 틀리더라고. 이제 하나씩 같이 보자!1. 수일치 (Subject-Verb Agreement)영어에서 주어랑 동사는 수에 맞춰 일치해야 해. 한국어에선 주어의 단수/복수에 따라 동사가 크게 달라지지 않지만, 영어에선 꼭 맞춰야 해. 자주 틀리는 예문:🔴 The number of students are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is increasing. (The number는 단수라서 'is' 써야 해) 또, "A as well as B" 이런 표현에서는 동사가 'A'에 맞춰야 해.🔴 The teacher as well as the student..

문법 2025.03.03

영어 문법 '도치' 알아보기 "선생님, should가 앞에 있는데 마침표가 있어요! 틀린 문장 아니에요?"

도치가 뭐냐고?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도치는 소홀히 하는 학생들이 많아. 중고생뿐만 아니라 성인 학습자도. 다들 새 학기에 교과서와 문제집 앞부분만 열심히 공부해서인지 교과 과정상 뒷부분에 있는 이 부분은 소홀히 하는 학생이 많더라고. 그런데 뒷부분에 있다고 해서 중요하지 않은 게 아니거든, 절대! 도치(Inversion)는 문장의 어순을 바꿔 강조, 문체적 변형, 문법적 요구 등을 충족시키는 표현 방식이야. 보통 영어 문장은 주어(S) + 동사(V)의 어순을 따르지만, 도치가 발생하면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뒤바뀌어. 도치는 일반적으로 부정부사, 조건절, 장소 표현, 강조구문 등에서 사용돼. 수능이나 토익뿐만 아니라 영어 내신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문법 항목 중 하나이니까 반드시 잘 알아둬야 해.1. 부..

문법 2025.03.03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전치사 10개 수능 토익 내신에 자주 나오니까 꼭 봐

전치사, 왜 중요할까?중·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성인을 가르칠 때도 전치사를 헷갈려 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 가끔 "전치사 제대로 안 써도 외국인이 알아듣기만 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하고 묻는 사람도 있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야. 하지만! -잘못된 전치사를 쓰면 아예 못 알아듣는 경우도 생길 수 있어-처음부터 정확하게 배우는 게 실력 향상에 훨씬 좋아-그리고 우리나라에서 토익, 수능, 내신 같은 시험을 피할 수는 없잖아? 이런 전치사 문제는 어디서든 꼭 나오더라고. 그래서! 한국인들이 자주 틀리는 전치사 조합 10개를 소개할게. 내가 직접 학생들을 가르쳐보면서 가장 많이 틀리는 것들만 모아봤어.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전치사 10개 ❌ 잘못된 표현 → ✅ 올바른 표현❌ Despite of → ✅ Des..

문법 2025.03.01

중고등학교 내신에서 중요한 병렬 구조와 대등 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A뿐만 아니라 B도)와 같은 구문은 영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병렬 구조 중 하나야. 이런 구문은 두 가지 요소를 나열할 때 하나를 강조하면서도 두 번째 요소도 중요한 정보를 함께 전달하려고 할 때 유용하게 사용돼. 비슷한 구문들도 많고, 이런 구문들을 잘 활용하면 문장이 더 자연스럽고 풍성해질 수 있어. 그래서 이번엔 이런 구문들이 어떻게 쓰이는지, 각각의 구문들이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병렬 구조(parallel structure)는 문장에서 여러 가지 요소들이 나열될 때, 그 요소들이 동일한 문법적 형태를 가져야 한다는 원칙이야. "Not only A but also B"처럼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연결할 때, 이들 요소가 같은 형태..

문법 2025.03.01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가주어와 진주어!

문장에서 주어는 문장의 주된 의미를 나타내는 말이야. 이건 다들 알지? 하지만 어떤 문장은 주어가 너무 길어서 문장이 어색해질 수도 있어. 사람도 머리가 너무 커서 비율이 가분수 비율이면 좀 그렇잖아...! 문장도 앞 부분에 주어가 너무 길면 대두처럼 어색해. 이럴 때 영어에서는 어떤 마법을 부릴 수 있을까? 아주 간단한 마법이 있어! 바로 가주어(it)를 사용하는 거야. 엄청 쉽지? 가주어 it을 쓰고 긴 부분을 뒤로 보내면 문장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어. 뒤로 밀려난 부분이 진짜 하려는 말이잖아? 그래서 얘를 진짜 주어, 줄여서 진주어라고 해. 진주어는 원래 주어 역할을 하는 부분인데, 가주어가 대신 자리를 차지하면서 문장 끝으로 밀려나. 1. 가주어와 진주어의 개념가주어(it)와 진주어를 사용할 ..

문법 2025.03.01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to부정사의 용법 세 가지

to부정사에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이 있다고? 부정사라고 하면 뭔가를 부정하는 것 같지? 하지만 그렇지 않아. 부정사는 동사원형을 뜻해. 그래서 to부정사라고 하면, 그냥 "to + 동사원형"이라고 생각하면 돼. 영어로는 이를 to infinitive라고 부른다구! 오늘은 to부정사에 대해 배워보자! to부정사는 영어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이야. 중고등학교 영어를 공부할 때, to부정사를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으면 문장을 더 정확하게 만들 수 있고, 의미도 더 잘 전달할 수 있어. 또 to부정사는 명사처럼, 형용사처럼, 부사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쓸 수 있어서 영어 실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돼. 자, 그럼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자!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먼저, to부정사의 명사적..

문법 2025.02.28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쉽게 이해하기

안녕! 아마 여러분은 수행평가 준비하다가, 혹은 중간고사나 기말고사 준비하다가 검색창에 현재분사, 과거분사를 쳐서 이 글을 보게 되었을 것 같아요! 영어에서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 와 과거분사(past participle) 는 아주 중요한 문법 요소예요. 이 두 가지는 모두 동사에서 파생되지만, 쓰임과 의미가 다르답니다! 쉽게 말해, 현재분사는 어떤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형태이고, 과거분사는 이미 끝난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형태예요.그럼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볼까요?1. 현재분사는 무엇일까요?현재분사는 동사에 "-ing" 를 붙여 만드는 형태예요. 어떤 동작이 지금 진행 중이거나, 형용사처럼 사용될 때 쓰입니다.✅ 진행형 만들기현재분사는 진행형을 만들 때 가장 많이 쓰여요...

문법 2025.02.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