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that ~ / so ... that / 을 so as to로 헷갈리는 고1
농어촌 전형이 되는 지방 중소도시의 자율형공립고 1학년.
중학교 내신은 300점 만점에 295점 내외로 졸업.
우리 아이가 중학교 내신이 290이 넘었다.
중학교땐 올A였다.
그런데 고등학교 가서 영어가 3~5등급이다....
학부모는 몇십분, 혹은 한 시간 넘게 억울한 목소리로 토로하지만
사교육계 종사자들에겐 그냥 너무 흔한 레파토리.
대한민국에 고등학교가 2000개가 넘는데, 단순 계산으로 한 학교당 다섯명만 저렇다 치면 이미 만 명은 그냥 넘어요...
중학교때 A를 받는 학생의 수와 고등학교 때 1등급을 받을 수 있는 학생 수만 잠깐 계산해봐도
저런 케이스가 당연히 우후죽순이겠지. 항상 강조하듯, 당신의 자녀만 그렇게 막 특출나지 않다.
어쨌든 이 학생도 영어에 자신감을 갖고 싶다고 찾아왔는데,
간단한 문제 지문 해석을 시켜보니 so that / so ... that ~ 구문을 해석을 못한다.
계속 so...to? so to? 이러고 있다.
너 혹시 so as to 생각하는 거니?
네.
학생들과 대화하다보면 어떻게 이것과 이것을 헷갈리지? 황당할 정도로
신기한 부분에서 혼선을 빚는 친구들이 있다.
공부법을 모르는 아이들이다.
어떤 과목을 공부함에 있어
대단원/중단원/소단원, 카테고리를 정리하지 않은 학생일수록 정말 예측이 불가능한 부분에서 헷갈려 한다.
so that과 so ... that ~을 헷갈리는 것도 아니고...
여튼, 그 친구를 위해 챗GPT를 활용하여 만든 자료.
1. so as to + 동사원형
→ 목적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하기 위해서"라는 의미임.
→ to부정사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문장 안에서는 부사 역할을 함.
예문
- She studies hard so as to pass the test.
→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함. - I got up early so as to catch the train.
→ 기차를 타기 위해 일찍 일어남.
주의할 점
- 뒤에 주어가 올 수 없으며, 무조건 동사원형이 와야 함.
- 딱딱하고 형식적인 느낌이 있음. 글쓰기나 시험에서 자주 나옴.
2. in order to + 동사원형
→ so as to와 같은 의미이며, 둘 다 "~하기 위해서"라는 목적을 나타냄.
→ 뒤에 동사원형이 온다는 점도 같음.
예문 비교
- She left early so as to catch the bus.
- She left early in order to catch the bus.
→ 둘 다 "버스를 타기 위해 일찍 떠남"이라는 뜻임.
차이점
- so as to는 더 격식 있는 표현이며, 시험문장이나 문어체에 적합함.
- in order to는 더 자연스럽고, 말할 때도 많이 쓰임.
- 둘 다 너무 자주 쓰면 문장이 딱딱해지기 쉬우므로, 말할 때는 보통 to + 동사원형을 쓰는 것이 자연스러움.
3. so that + 주어 + 동사
→ 목적을 나타내며, "그 결과 ~할 수 있도록" 또는 "그래서 ~하다"는 의미임.
→ 반드시 주어와 동사가 함께 나와야 함.
예문
- She studies hard so that she can pass the test.
→ 시험에 합격할 수 있도록 열심히 공부함. - I got up early so that I wouldn’t be late.
→ 지각하지 않기 위해 일찍 일어남.
특징
- 뒤에 조동사(can, will, may 등)가 자주 나옴.
- 말할 때나 글쓰기 모두에서 자연스럽게 많이 쓰이는 표현임.
4. in order that + 주어 + 동사
→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는 목적 표현임.
→ so that과 같은 의미와 구조를 가짐.
예문
- She studies hard in order that she may pass the exam.
→ 시험에 합격할 수 있도록 열심히 공부함. - I left early in order that I could catch the train.
→ 기차를 탈 수 있도록 일찍 출발함.
특징
- 뒤에 주어 + 동사 구조가 반드시 있어야 함.
- may, might, can, could, will 같은 조동사가 자주 쓰임.
- 말할 때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격식 있는 글에서 주로 등장함.
- so that으로 바꾸어도 의미 차이는 거의 없음.
5.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동사
→ 정도를 강조하여 "너무 ~해서 ~하다"라는 결과를 나타냄.
예문
- He was so tired that he fell asleep in class.
→ 너무 피곤해서 수업 중에 잠들었음. - The movie was so funny that I laughed out loud.
→ 너무 웃겨서 나도 모르게 웃었음. - She spoke so quickly that I couldn’t understand her.
→ 너무 빨리 말해서 이해하지 못했음.
6. so + many/much/few/little + 명사 + that + 주어 + 동사
→ 명사의 양을 강조하는 결과 표현임.
예문
- She had so many books that she needed a new shelf.
→ 책이 너무 많아서 새 책장이 필요했음. - He made so few mistakes that he got a perfect score.
→ 실수가 거의 없어서 만점을 받았음.
'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I'll be home 이 맞는 표현인가요? at home 아닌가요? (0) | 2025.07.24 |
---|---|
성인|Yes와 Okay의 차이점이 뭔가요? (0) | 2025.07.21 |
중2|idol과 ideal은 어떤 관계인가요? (0) | 2025.07.18 |
성인|before bed를 before the bed라고 하면 안되나요? (0) | 2025.07.12 |
성인|"you know," 와 I'll let you know가 관련 있나요? (0) | 2025.05.19 |